[골프상식] OB와 로스트볼이 뭐가 달라요?
골프를 막 시작했을 때 가장 당황스러운 순간 중 하나,
📌 이해를 돕는 설명
골프장 코스를 걷다 보면 땅에 꽂혀 있는 말뚝들을 볼 수 있어요.
이 말뚝들은 색깔에 따라 의미가 다릅니다.
🔳 흰색 말뚝: OB 구역 경계선
🔴 빨간 말뚝: 해저드(페널티 구역)
🟡 노란 말뚝: 전방 해저드
✅ 질문: OB와 로스트볼 모두 벌타 1타 + 마지막 샷 지점으로 돌아가서 재시도하면
몇타째인가요?
🎯 정답: 티샷이 OB면 다시 티잉 에어리어에서 3타째를 치게 됩니다.
✅ 질문: OB나 로스트볼이나 둘 다 벌타 1타 + 다시 치기인데, 왜 굳이 로스트볼을
3분 동안 열심히 찾으려 할까?
🎯 정답:찾으면 ‘벌타 없이’ 그대로 플레이 가능
OB나 로스트볼 상황에서의 로컬룰
📍 원래는?
OB나 로스트볼이 나면 1벌타 +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가서 쳐야 해요.
예: 티샷이 OB면, 다시 티잉 에어리어로 돌아가서 3타째를 칩니다.
📍 그런데, 이렇게 하면...
왕복 이동으로 게임이 지연되고,
특히 아마추어 플레이어에겐 부담이 큽니다.
📍 그래서! 적용되는 로컬룰
티박스로 다시 가지 않아도 됩니다.
벌타는 늘어나지만, 플레이는 훨씬 빠르고 간편해지는 거죠.
✅ 질문: OB나 로스트볼일 경우, 로컬룰 적용해서 2벌타 받고 페어웨이에서
드롭하면 몇 타째인가요?
🎯 정답: 3타째가 아니라, 4타째입니다.
“OB나 로스트볼일 경우, 페어웨이 근처에서 2벌타 받고 드롭한 뒤 플레이하세요!”
잠정구(Provisional Ball)의 중요성
"OB 같기도 하고, 아닐 수도 있어요…"
이럴 땐 잠정구를 미리 한 번 더 쳐두는 게 정답입니다!
만약 원래 공을 못 찾게 되어도, 잠정구로 바로 이어서 플레이할 수 있어요.
→ 시간 절약 & 벌타 대응,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!
❓ 잠정구란?
“혹시 OB일지도 모르니까, 미리 한 번 더 쳐볼게요!”
라는 뜻으로 치는 ‘예비 공’입니다.
▶ 정확한 용어는 Provisional Ball, 줄여서 P.B.라고도 해요.
🔊 꼭 주의할 점
잠정구는 반드시 “잠정구 칩니다”라고 말한 뒤 쳐야 유효해요!
그냥 치면 그 공이 자동으로 ‘실제 공’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.








